본문 바로가기
산업인력공단 (큐넷)-자격증/정보처리기능사(필기)

[시골개]정보처리기능사 필기 2008년 02월 03일 기출문제 풀이(3과목,4과목)

by 누런마음황구 2024. 2. 2.
728x90
반응형

정보처리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08-02-03] 기출문제 풀입니다. (3과목, 4과목)

빨간 글자 = 정답(밑줄)

파란 글자 = 중요 문제, 많이 출제 되요

초록 글자 = 문제 풀이 팁

회색 글자 = 답만 암기, 중요하지 않아요

[3과목 : PC 운영체제]


31. UNIX에서 현재의 작업 디렉토리가 어디인지를 확인하는 명령은?

가. pwd

. rmdir

. chmod

. groups

 

PWD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 경로를 화면에 출력합니다.

 

rmdir : 디렉터리를 제거합니다. (DOS에서의 rm와 같습니다.)

 

chmod : 파일 보호 모드를 설정하여 파일의 사용 허가를 지정합니다. (속성 설정입니다. ) (DOS에서의 attrib과 같습니다.)

 

Groups : 사용자의 그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wd는 정말 많이 출제되므로 반드시 기억하세요 Groups는 그냥 이런게 있네 하고 넘어가셔도 괜찮아요


32. "윈도 98"에서 현재 활성화된 창(windows)의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축키는?

. AltTab

나. Alt+F4

. CtrlZ

. CtrlC

 

<Alt + F4> : 실행중인 창이나 앱(프로그램)을 종료하며 아무런 실행중인 창이나 앱이 없으면 윈도우 종료 창이 나타납니다.

 

<Ctrl + C> : 복사

 

<Ctrl + Z> : 바로 전단계로 되돌리기입니다. (실행 취소)

 

<Alt + Tab> : 현재 실행중인 앱(프로그램)들의 목록을 화면 중앙에 나타내며 Alt키를 누른 상태에서 Tab키를 이용하여 이동할 작업창을 선택하여 창전환을 합니다.

 

※단축키들은 직접 사용해보시는게 기억에 가장 오래 남고 잘 외워집니다. 사용해보시고 암기 하세요


33. UNIX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 Pascal

. Fortran

다. C

. Basic

 

유닉스는 대부분 C언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UNIX>

  • 미국 벨 연구소에서 개발된 운영체제로 대부분 C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서버용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입니다. 특징으로는 멀티태스킹 지원, 서버형, 계층적 트리구조, 등이 있습니다.
  • 대표적인 CUI( 문자형 운영체제)입니다.

<PASCAL>

  •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구현하고 설명하기 좋은 언어로 교육용 언어입니다. 과거와 달리 근래에는 잘 사용되지 않다가 현재는 여러 기능들이 추가되어 델파이라는 언어로 존재합니다.

<BASIC>

  • 교육용 언어로 초보자를 위한 간단한 대화형 언어입니다.
  • goto문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판독이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Fortran>

  • 최초의 컴파일러형 고급 언어로 수학, 과학, 공학 등과 같은 수리 계산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명령문이 일반 수식과 비슷하여 사용이 용이합니다.

※정답인 UNIX는 C언어로 되어 있다만 중요하며 나머지 보기는 암기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34. "윈도 98"에서 특정 파일을 찾고자 할 때 "찾기"를 이용한다. 다음 중 "찾기" 방법에 의해 특정 파일을 찾을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 파일의 형식을 알고 있는 경우

. 변경된 날짜를 알고 있는 경우

다. 파일의 작성자를 알고 있는 경우

.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을 알고 있는 경우

 

1번 보기의 경우 확장자를 통해서 알수 있습니다.

2번 보기의 경우 수정한 날짜로 검색

4번 보기의 경우 와일드 카드 문자를 가지고 검색할 수 있습니다.

 

※과거 윈도우메뉴와 지금 윈도우 메뉴가 많이 다릅니다. 따라서 답만 확인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35. 도스(MS-DOS)에서 사용자가 파일을 잘못해서 정보를 삭제하였을 때, 이를 복원하는 명령어는?

. DELTREE

나. UNDELETE

. FDISK

. ANTI

 

DEL(ERASE)는 삭제하고 이를 복원 하는 것은 UNDELETE입니다. 영어 단어 뜻만으로 알 수 있습니다.

 

DELTREE : 디렉터리 안에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까지 모두 삭제하는 명령입니다.

 

FDISK : 하디스크를 논리적으로 여러개로 나누어 서로 다른 드라이브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파티션 분할)

 

ANTI : DOS에서 ANTI 라는 명령어는 없습니다.

 

※FDISK가 시험에 많이 출제되니 잘 기억해 두시고  ANTI는 무시하셔도 괜찮아요


36. UNIX에서 태스크 스케줄링(task-scheduling) 및 기억장치관리(memory management) 등의 일을 수행하는 부분은?

가. kernel

. shell

. utility program

. application program

 

유닉스에서 ~관리 가 보인다면 '커널'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커널(Kernel)>

  •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부팅시 주기억장치에 상주하게 됩니다.
  • 하드웨어를 보호하며 프로그램과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데이터 전송 및 변환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합니다.
  • ~ 관리, ~ 관리, 와 같은 지문이 있으면 커널을 생각 하면 됩니다.

 

<쉘(Shell)>

  •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로 명령을 커널이 처리할 수 있도록 전달해줍니다.
  • 명령 인터프리터로 단말장치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어를 입력받습니다.
  • 주기억 장치에 상주하지 않고 명령어가 포함된 파일 형태로 존재합니다.
  • 공용 쉘로는 Bourne Shell, C Shell, Korn Shell이 있습니다.
  • C Shell은 ‘%’ , Bourne Shell & Korn Shell은 ‘$’ 프롬프트를 사용합니다.
  • 단순하게 명령어 해석기로만 기억하셔도 됩니다.

 

<유틸리티(Utility) = UNIX에서의 유틸리티>

  • 일반 사용자가 작성한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데 사용하며 DOS에서의 외부 명령어에 해당합니다.
  • 유틸리티 프로그램에는 에디터,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디버거 등이 있습니다.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 특정한 업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프로그램입니다.
  • 워드, 엑셀, 프리젠테이션, 등등의 프로그램들입니다.

※보통 시험에서 커널 아니면 쉘을 묻는 문제로 출제됩니다. 두가지를 잘 기억해 두세요


37. 운영체제의 목적이 아닌 것은?

. 처리능력(Throughput) 향상

나. 턴어라운드 타임(Turnaround Time)의 증가

. 사용가능도(Availability)의 증대

. 신뢰도(Reliability)의 향상

 

정답은 나

컴퓨터를 구성하는 장비와 모든 프로그램은 빠르고 정확하게 자료를 처리 후 반환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응답시간(턴 어라운드 타임)을 지연시킨다는 것은 잘못된 내용입니다.

 

<Turnaround Time(응답 시간)>

  • 명령을 지시하고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시간으로 응답시간은 짧을수록 좋습니다.

 

<처리능력(Throughtput)>

  • - 시스템이 일정 시간 안에 처리되는 양

 

<사용 가능도(Availability)>

  • -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시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신뢰도(Reliability)>

  • - 주어진 문제를 믿을 수 있도록 정확하게 처리하는 정도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며 대부분 응답시간의 증대,증가 등으로 많이 나옵니다. 주의깊게 잘 기억해 두세요


38. Which one does below sentence describe?

It is situation of infinite waiting of unusable resources, Because one program is going to use the device in use by other program at multi programming.

 

. paging

. buffering

다. deadlock

. overlay

 

It is Situation of infinite wating(무한 대기 상황입니다.), Unusable resources(자원을사용할 수 없는)

이만큼만 해석해도 시스템 자원을 사용하지 않고 무한 대기 상태라는 점으로 교착상태(Deadlock)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교착상태(Dead Lock)>

  • 다중프로그래밍 상에서 두 개의 프로세스가 실행 중에 있게 되면 각 프로세스는 자신이 필요한 자원을 가지고 실행되다가 서로 자신이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포기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 경우 두 프로세스는 모두 더 이상 실행을 할 수 없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입니다.

↘<교착상태 발생의 필요 충분 조건 4가지>

  • 상호 배재 : 한번에 한 개의 프로세스만이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점유와 대기 : 최소한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사용되고 있는 자원을 추가로 점유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존재
  • 비선점 : 다른 프로세스에서 할당된 자원은 사용이 끝날때까지 강제로 빼앗을 수 없음
  • 환형 대기 : 공유 자원과 공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들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을 점유하면서 앞이나 뒤의 프로세스의 자원을 요구

 

<buffering(버퍼링)>

  • 컴퓨터 시스템에서 두 장치간에 데이터를 전송할시에 속도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지적으로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 입.출력 장치와 CPU간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위하여 사용됩니다.
  • 주기억 장치를 사용하며 단일 작업시 사용되며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되었있습니다.

<페이징(Paging)>

  • 가상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주기억장치의 영역을 동일한 크기로 나눈 후 나눠진 프로그램(페이지)을 동일하게 나눠진 주기억장치의 영역(페이지 프레임)에 적재시켜 실행하는 기법입니다.
  • 외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내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고 주소 변환을 위해서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는 페이지 맵 테이블이 필요합니다.

<오버레이(overlay)>

  • 주기억장치보다 큰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기법으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하나의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할한 후 필요한 조각을 차례로 주기억장치에 적재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위의 내용들중 '교착상태'가 중요하며 '버퍼링'의 경우 속도차 해결이라는 정도까지만 기억해두세요

페이징과 오버레이는 기능사보다는 산업기사,기사에서 출제됩니다.


39. "윈도 98"의 탐색기에서 비연속적인 여러 개의 파일을 선택하는 방법은?

가.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선택하려는 파일들을 왼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한다.

.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선택하려는 파일들을 왼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한다.

.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선택하려는 파일들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한다.

.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선택하려는 파일들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한다.

 

 

Ctrl + 클릭 또는 드래그 = 비연속적인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Shift + 클릭 또는 드래그 = 연속적인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시험에서 워낙 많이 출제됩니다. 반드시 기억해 두세요 

다른 자격증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40. "윈도 98"의 작업 표시줄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도구 모음의 메뉴가 아닌 것은?

. 연결

나. 설정

. 주소

. 빠른 실행

 

워드나 컴활의 윈도우 문제와 혼동이 발생할 수있으니 답만 확인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윈도우98을 설치해서 보여드릴 수가 없네요


41. "윈도 98"에서 복사 또는 이동시킬 파일(내용)이 잠시 기억되는 임시 기억장소로서 일종의 버퍼(buffer)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 제어판

. 휴지통

다. 클립보드

. 바탕화면

 

복사나 이동 혹은 프린트스크린을 임시로 저장하는 공간을 '클립보드'라 합니다.

 

<클립보드(Clipboard)>

  •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관해 두는 임시 저장 공간으로 복사, 잘라내기, 붙이기 할 때 사용됩니다.
  • 클립보드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것 하나만 기억하며 여러번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 클립보드의 내용은 시스템 재시작시 내용이 지워집니다.(휘발성)

<제어판>

  • 윈도우에 설치된 프로그램, 시스템 행동에 대한 설정을 하는 시스템 유틸리티입니다.

<휴지통>

  • 삭제된 파일이나 폴더가 임시 보관되는 장소로 복원이 가능하며 각 드라이브마다 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휴지통의 실제 파일이 저당되는 폴더의 위치는 운영체제에서 지정하므로 사용자가 지정할수 없으며 휴지통에 삭제한 파일이나 들어가면 휴지통 아이콘의 모양이 변경됩니다.
  • 휴지통은 드라이브마다 한 개씩 만들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5% ~ 10%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MB단위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 휴지통의 용량이 초과하면 가장 과거의 파일이 제거되며 휴지통용량보다 큰파일을 삭제시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 휴지통에 보관된 파일이나 폴더는 휴지통 내에서 실행이 불가하며 사용시 복원(복구)후 실행 가능합니다.
  • 휴지통에 보관없이 바로 삭제되도록 설정이 가능하며 삭제할때마다 메시지가 표시되도록도 설정 가능합니다.

<바탕화면>

  •  컴퓨터나 휴대폰 등 각종 장치들의 초기 화면에 배경으로 있는 화면을 의미합니다.

※클립보드와 휴지통에 대해서 잘 기억해 두세요 1,4번 보기의 경우 중요하지는 않아요


42. 도스(MS-DOS)에서 "CONFIG.SYS" 파일에 "LASTDRIVE=D"의 설정이 의미하는 것은?

. 드라이브 용량을 의미한다.

. 드라이브 모양을 의미한다.

. 드라이브 속도를 의미한다.

라. 드라이브 개수를 의미한다.

 

config.sys이 중요한게 아닌 LASTDRIVE가 중요합니다.

LASTDRIVE는 드라이브 개수를 의미합니다.

 

LASTDRIVE : 드라이브의 최대 개수 지정하는 명령입니다.

 

<CONFIG.SYS(환경 설정 파일)>

  •  시스템 환경을 설정해 주는 파일로 표준 장치 외 주변 장치에 대한 기본 환경 설정 가능합니다.
  •  디스크의 동작 속도를 향상 시켜주는 버퍼(Buffer) 및 캐시(Cache)의 설정이 가능합니다.

※LASTDRIVE는 시험에 자주 등장하는 명령입니다. 꼭 기억해 두세요


43. "윈도 98"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기능 지원

. 파일 이름을 255자 까지 지원

다. 16 bit 환경의 GUI 시스템

. 멀티태스킹(Multi Tasking) 지원

 

 

윈도우98은 GUI운영체제는 맞지만 16bi가 아닌  32bit 운영체제 였습니다.

현재의 윈도우는 32bit 혹은 64bit로 선택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GUI(Graphical User Interface)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키보드로 명영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아이콘이나 메뉴를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작업 환경을 의미합니다.
  • 대표적으로 windows, Linux, 등이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휴대전화도 GUI입니다.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PnP) = 자동 감지 장치>

  • 컴퓨터 시스템에 하드웨어를 설치했을 때, 해당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환경을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구성해 주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환경을 설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PnP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 PnP를 지원해야 합니다.

<윈도우 파일명>

  • 윈도우에서 파일이름은 최대 255자까지 지어할 수 있으며 파일 이름에 공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한글은 127자까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 * ? ” < > |를 제외한 모든 문자도 가능합니다.

<멀티 태스킹(Multi tasking)>

  •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한번에 2가지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으로 ‘다중작업’이라고도 합니다.

※시험에 동일한 내용으로 자주 출제되었습니다. 잘 기억해 두세요


44. 도스(MS-DOS)에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설정하고 논리적 드라이브 번호를 할당하는 명령은?

. FORMAT

. DEFRAG

. DOSKEY

라. FDISK

 

 

FDISK : 디스크의 논리적 영역을 할당, 각 볼륨이 서로 다른 드라이브 문자를 가진 별개의 드라이브로 동작 설정합니다.

 

<포맷(Format)>

  • - 디스크를 초기화(트랙과 섹터 형성)하여 사용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으로 디스크를 사용전에는 먼저 포맷을 해야합니다. 포맷(초기화)를 수행하면 디스크의 기존 데이터가 모두 삭제가 됩니다.
  •  
  • /S : 포맷후 시스템 파일을 복사하여 시동 디스크를 만듦
  • /Q : 빠른 포맷
  • (옵션들 중에 2가지는 기억해두시면 좋습니다.)

 

DEFRAG :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하여 최적화합니다. (디스크 접근 속도를 향상시켜줍니다. (윈도우의 디스크 조각모음과 같습니다.)

 

DOSKEY : 명령줄을 편집하고 윈도우 명령을 다시 호출하고 매크로를 만듭니다.(중요하지 않습니다.)

 

※FDISK와 FORMAT은 시험에 정말 자주 출제되는 내용입니다. 2,3번 보기의 경우 이런게 있구나 하고 넘어가셔도 괜찮아요


45.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프로그램 중 처리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은?

. 감독 프로그램(SUPERVISOR)

. 작업 관리 프로그램(JOB MANAGEMENT)

다. 서비스 프로그램(service)

.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은 제어프로그램과 처리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그중 제어프로그램에는 3가지 감..데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면 좋습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 OS>

  •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제어 프로그램과 처리프로그램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제어 프로그램>

  • 감시 : 프로그램의 실행과 시스템 전체의 작동 상태를 감시,감독
  • 작업 관리 : 업무 처리후 다음 업무 이행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준비, 처리에 대한 완료 담당
  • 데이터 관리 : 주기억 & 보조기억 장치의 자료 전송, 파일의 조작 및 처리, 입출력 자료와 프로그램간의 논리적 연결 등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파일과 데이터를 표준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리

<처리 프로그램>

  • 언어 번역 : 원시프로그램을 목적프로그램으로 번역
  • 서비스 :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시스템 제공자가 미리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것
  • 문제 해결 : 특정 업무 및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

※항상 감.작.데는 암기해 두세요 지금과 같은 문제를 쉽게 해결 할 수 있습니다.


46. "윈도 98"에서 시동디스크(부팅디스크)를 만드는 기능은 어디에 있는가?

. 내게 필요한 옵션

. 시스템

다. 프로그램 추가/삭제

. 디스플레이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시동디스크를 만들었지만 지금은 중요하지 않으며 메뉴의 이름도 변경 되었습니다.

답만 암기하고 넘어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4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A hardware signal that suspends execution of a program and calls a special handler program. It breaks the normal flow of the program execution. After the handler program executed, the suspended program is resumed.

 

가. interrupt

. polling

. method invocation

. virus

 

hardware signal that suspends execution of a program and calls a special handler program(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하고 특수 핸들러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하드웨어 신호입니다.

After the handler program executed, the suspended program is resumed.(핸들러 프로그램이 실행된 이후 중지되었던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합니다.)

 

위의 내용정도만 해석하여도 인터럽트(Interrup)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터럽트(Interrupt)>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실행 중이던 명령어까지는 처리)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이던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처리하는 과정입니다. (돌발상황, 끼어들기라고도 합니다.)
  • 인터럽트 종류로는 외부(External), 내부(Internal), 소프트웨어(Software)가 있습니다.
  • 인터럽트 처리후 복귀주소는 Stack(스택)의 가장 하단부분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외부 인터럽트(External Interrupt)>

  • 1). 전원 이상 인터럽트(정전) [우선 순위 1순위 인터럽트]
  • 2). 기계착오 인터럽트(CPU 이상)
  • 3). 외부 신호
  • 4). 입출력 인터럽트(I/O Interrupt)(입출력 문제, 입출력 장치의 입력 및 완료)

 내부 인터럽트(Internal Interrupt)>

  • 1). 잘못된 명령이나 데이터 사용(트랩이라고도 함)
  • 2).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0으로 나누기, Overflow , UnderFlow, 잘못된 기억장소 참조 등)

 소프트 웨어 인터럽트(Software Interrupt)>

  • 1). 프로그램 요청으로 인한 인터럽트(OS인터럽트)는 SVC(Super Visor call)이라고 합니다.
  • 2). 복잡한 입출력 처리 및 기억장치 할당 및 사용자와의 대화

<폴링(Poling)>

  • 하나의 장치 또는 프로그램이 충돌 회피 또는 동기화 처리 등을 목적으로 다른 장치나 프로그램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송수신 등의 자료를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 주 컴퓨터에서 단말기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를 물어 전송할 데이터가 있다면 전송을 허가(Poll)하는 방식으로 단말기에서 컴퓨터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경우 사용합니다.

 

<method invocation>

  • 메소드 호출입니다. (Remote method invocation에 대하여 보기로 낸듯하지만 이정도로 시험에 나오지 않으니 넘어가겠습니다.

 

<바이러스(Virus)>

  • 컴퓨터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기 위해 운영체제나 저장된 데이터에 손상을 입히는 프로그램입니다.
  • 디스크의 부트 영역이나 프로그램 영역에 숨어있으며 자신을 복제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 시킬 수 있습니다.
  • 주로 인터넷과 같은 통신 매체를 통해 다운로드한 파일이나 외부에서 복사해 온 파일 등을 통해 감염되고 감염시 프로그램(S/W)나 장치(H/W)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를 해결해주는 프로그램을 백신이라 합니다.

※인터럽트와 바이러스의 내용은 문제가 출제될때마다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시험에 자주 출제 됩니다. 

이외의 폴링이나 메소드호출의 경우 이런게 있구나 하고 넘어가셔도 괜찮아요. 


48. 컴퓨터시스템 내부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정의하는 용어는?

가. 프로세스

. 버퍼

. 인터럽트

. 커널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합니다.

상당히 중요한 내용입니다. 프로세스를 알고 계시면 다른 자격증이나 컴퓨터 공부에 도움이 됩니다.

 

<프로세스(Process)>

  • 일반적으로 프로세서(CPU)에 의해 처리되는 사용자 프로그램이나 시스템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으로 프로세스는 필요한 각종 자원을 요구하게 됩니다.
  • 실행중인 프로그램, PCB(Process Control Block :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은곳으로 고유의 PCB가 생성되고 프로세스 완료시 PCB는 제거 됩니다.)를 가진 프로그램, 실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 목적 또는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사건의 과정이며 프로세서가 할당하는 개체로 디스패치가 가능한 단위입니다.

 

<buffering(버퍼링)>

  •  컴퓨터 시스템에서 두 장치간에 데이터를 전송할시에 속도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지적으로 기억장소에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 입.출력 장치와 CPU간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위하여 사용됩니다.
  • 주기억 장치를 사용하며 단일 작업시 사용되며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되었있습니다.
  • ※버퍼는 어떠한 장치간의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임시 기억하는 영역(공간,장치)을 말합니다.

 

<인터럽트(Interrupt)>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실행 중이던 명령어까지는 처리)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이던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처리하는 과정입니다. (돌발상황, 끼어들기라고도 합니다.)
  • 인터럽트 종류로는 외부(External), 내부(Internal), 소프트웨어(Software)가 있습니다.
  • 인터럽트 처리후 복귀주소는 Stack(스택)의 가장 하단부분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 ※인터럽트에 대한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동일 회차의 47번에 정리했습니다.

<커널(Kernel)>

  •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부팅시 주기억장치에 상주하게 됩니다.
  • 하드웨어를 보호하며 프로그램과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데이터 전송
  • 및 변환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합니다.
  • ~ 관리, ~ 관리, 와 같은 지문이 있으면 커널을 생각 하면 됩니다.

※프로세스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면 다른 자격증들이나 산업기사/기사 자격증 학습에도 도움이 됩니다.


49. 도스(MS-DOS)에서 "AAA"라는 디렉토리를 만들 때의 명령은? (단, 현재 디렉토리는 C:₩ 임)

. C:>MD AAA

. C:>CD AAA

. C:>ED AAA

. C:>RD AAA

 

MD(Make Directory) (UNIX에서 mkdir과 같습니다.)

  • 새로운 디렉터리를 만드는 명령어로 같은 디렉터리에 동일 이름의 디렉터리는 생성할 수 없습니다.

 

RD(Remove Directory) (UNIX에서 rmdir과 같습니다.)

  • 디렉터리를 삭제합니다. 단, 삭제하려는 디렉터리안에 다른 디렉터리나 파일이 없어야 삭제가 가능합니다.

 

ED는 없습니다.

 

CD(Change Directory) (UNIX에서 cd와 같습니다.)

  • 다른 디렉터리로 이동 합니다.

※명령어들은 항상 잘 봐두시길 바랍니다.


50. 도스(MS-DOS)에서 "ATTRIB" 명령 사용 시에 읽기 전용 속성을 해제할 때 사용하는 옵션은?

. -H

. -S

. -A

라. -R

 

읽다가  Read라는 영단어 입니다. 간단한 영어 단어로도 정답을 알 수 있습니다.

 

 

ATTRIBUTE = ATTRIB 명령이며 속성을 나타냅니다.

 

ATTRIB 명령 사용 옵션
+ (설정) - (해제)
R(Read Only) 읽기 전용 속성
A(Archive) 저장 / 백업 속성
S(System) 시스템 파일 속성
H(hidden) 숨김 파일 속성

 

※Attrib 명령어는 항상 시험에 자주 출제됩니다. 단어의 뜻으로 이해하시면 훨씬 쉽습니다.


반응형
728x90

[4과목 : 정보통신 일반]

 


51. 다음 중 광통신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 광대역이다.

. 코어는 경량이며 가늘다.

. 저손실이다,

라. 전력유도가 많다.

 

광통신(광섬유, 광케이블 등)과 같은 빛을 사용하는 통신은 다 좋다고 암기하시면 충분합니다. 다만 빛을 사용하는 만큼 설치가 어렵고 설치 및 관리가 고가라는 점을 기억하시면 좋습니다.

 

이문제에서는 전력 유도가 많다고 하였는데 광통신은 빛을 사용하는 통신으로 전력 유도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

  • 유리를 원료로 하여 제작된 가느다란 광섬유를 여러 가닥 묶어서 케이블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 데이터를 빛으로 바꾸어 빛의 전반사 원리를 이용하여 전송합니다.
  • 가장 빠른 속도와 높은 주파수 대역폭, 대용량, 장거리 전송, 보안성이 좋음, 저손실, 무누화, 낮은 감쇠율, 높은 신뢰성 등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 무유도 성질이므로 전자기적 잡음에 강합니다.
  • 설치비용이 비싸고 광섬유간 연결이 어려워 설치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52. 다음 중 반송파 주파수를 변환시키는 변조방식은?

. AM

나. FM

. PM

. PCM

 

정보통신에서 주파수(Frequency)가 나오면 ‘F’를 찾으시면 됩니다.

 

AM 진폭 , FM 주파수 , PM 위상 , QAM 진폭 위상입니다.

※위의 4가지 종류는 기억해두시면 4과목에서 풀수 있는 문제가 많습니다.

 

<주파수 변조 FM(Frequency Modulation)>

  • 반송파의 주파수를 신호파의 진폭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입디ㅏ.
  • 잡음을 제거하기 쉽고 음질이 좋아 FM 스트레오 방송, 텔레비전의 음성 등에 사용됩니다.
  • AM보다 깨끗한 방송이 가능하고 혼선을 잘 일으키지 않으나 장애물 영향을 많이 받아 넓은 지역은 불편합니다.

<진폭 변조 AM(Amplitude Modulation)>

  • 아날로그 통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정보를 신호의 진폭 변화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 주로 라디오 전송에 주로 사용하는 전파 변조 기술입니다.
  • 신호를 만들고 복조하는 회로의 구조가 간단하지만 전력 효율이 나쁘고 전파과정 중 주변의 영향으로 잡음이 섞이기 쉽습니다.

<위상 변조PM(Phase Modulation)>

  •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라 주파수가 일정한 교류 신호의 위상을 벗어나게 하며 이 위상이 벗어난 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 미리 기준 위상에 대해서 몇도 위상이 진행하면 어느 정보로 되는가 하는 것을 정하며 1회 위상의 벗어남에 대해서 2비트나 3비트 등 복수 비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고속 전송에 적용 됩니다.

 

<PCM (Pulse Code Modulation)>

  • -화상, 음성, 동영상 비디오, 가상 현실 등과 같이 연속적인 시간과 진폭을 가진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조하는 방식으로 CODEC을 이용합니다.
  •  변조 순서
  • 송신측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수신측 : 복호화 → 여파화

↘표본화

- 음성, 영상 등의 연속적인 신호 파형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검출하는 단계 (표본화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PAM이라 함)

 

↘ 양자화

  • 표본화된 PAM 신호를 유한 개의 부호에 대한 대표값으로 조정하는 과정
  • 실수 형태의 PAM 신호를 정수형태로 만듭니다
  • 양자화 잡음 : 표본 측정값과 양자화 파형과의 오차를 말하며 PCM단국 장치에서 발생합니다. 이 양자화 잡음은 양자화 레벨을 세밀하게 함으로써 줄일 수 있으나 이 경우 데이터 양이 많아지고 전송 효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 부호화

  • -양자화된 PCM 펄스의 진폭 크기를 2진수로 표시하는 과정입니다.

↘ 복호화

  • 수신된 디지털 신호 PCM신호를 PAM 신호로 되돌리는 과정입니다.

↘ 여파화

  • PAM 신호를 원래의 입력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하는 과정입니다.
표본화
(Sampling)
양자화
(Quantization)
부호화
(Coding)
복호화
(Decoding)
표본 추출
진폭값 부여
디지털 양으로 변환 양자화된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2진값) 펄스 신호로 복원

 

※PCM에 관한 내용을 읽어보면 좋아요 첫글자만해서 표.양.부 정도는 기억해 두세요.


53. 다음 중 분산 네트워크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가. 분산자원의 중앙집중화

. 현장 업무의 효율화

. 네트워크의 확장용이

. 다양한 입력방식의 채택용이

 

 

분산은 나누어 흩어짐의 뜻이 있습니다. ‘번 보기의 경우 중앙 집중화라 되어 있는 것이 잘못 되었습니다.

 

<분산처리 시스템(Distributed Processing)>

  • 여러 개의 분산된 데이터 저장 장소와 컴퓨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서로 통신하면서 동시에 일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각 컴퓨터(단말기)들은 고유의 운영체제와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 자원 공유 : 각 시스템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유용한 자원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 연산 속도 향상 : 하나의 일을 여러 시스템에 분산시켜 처리하므로 연산 속도가 향상됩니다.
  • 신뢰도 향상 : 여러 시스템중 하나의 시스템이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시스템이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신뢰도가 향상됩니다.
  • 컴퓨터 통신 :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 중앙 컴퓨터의 과부하를 줄이며 컴퓨터의 위치를 몰라도 자원 사용이 가능하고 시스템의 점진적 확장이 가능합니다.

54. 회선망 구성에 있어서 10개의 스테이션(국)을 전부 망형으로 구성하려면 몇 회선이 필요한가?

. 85

. 65

다. 45

. 25

 

 

※어려운 공식도 아니고 계산도 아닙니다. 잘 기억하셔서 꼭 맞춰야할 문제입니다.


55. 다음 중 전송선로의 전기적인 1차 정수가 아닌 것은?

. 도체 저항(R)

나. 도체 길이(ℓ)

. 인덕턴스(L)

. 정전 용량(C)

 

 

도체저항 (R), 자기 인덕턴스(L), 정전 용량(C), 누설 콘덕턴스(G) 4개의 정수를 회로의 1차 정수라 합니다.

 

2차 정수로는 감쇠정수(α) , 위상정수(β) , 특성임피던스(Zo) 등 이 있습니다.

※이런게 있구나 답만 기억하셔도 충분해요 


56. RS-232C 25핀 커넥터 케이블에서 송신준비완료(CTS)의 핀(pin) 번호는?

. 4

나. 5

. 6

. 7

 

주로 출제되는 것은 2번핀 송신 3번핀 수신입니다.

이 문제는 출제 빈도가 낮으므로 답만 암기하세요

 

4번핀 송신 요구, 5번핀 송신 준비 완료입니다.

 

<RS-232C>

  •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통한 DTE(단말기)와 DCE(통신제어장치) 사이의 접속 규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25핀 구성입니다.
  • 전송거리로는 15m이하이며 OSI 7계층에서 물리 계층에 해당됩니다.
  • 시험에 가장 많이 나오는 핀으로는 2번핀 송신, 3번핀 수신입니다.
  • -V.24, V.28, ISO2110을 사용하는 접속 규격과 기능적으로 호환성을 가지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 2번핀 : 송신
  • 3번핀 : 수신
  • 4번핀 : 송신 요청
  • 5번핀 : 송신 준비 완료

57. 이동통신의 접속방식에 이용되는 CDMA 방식은?

. 시분할 다원접속방식

나. 코드분할 다원접속방식

. 공간분할 다원접속방식

. 주파수분할 다원접속방식

 

CD(code :코드)라는 점만으로도 정답을 찾을 수있습니다.

이론적인 내용들도 알고 있다면 좋아요. 힘들다면 최소한으로 영어 명칭정도까지는 기억하셔야 해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분할 다중 접속>

  • FDMA(주파수 분할)와 TDMA(시분할)의 혼합 방식으로, 여러 사용자가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서로 다른 코드를 부여한 신호를 확산하여 보내고 수신쪽에서는 동일한 코드로 확산된 데이터만을 골라 원래 신호를 재생하는 방식-국내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의 표준 방식으로 FDMA보다 가입자의 수용 용량이 10~20배가 넘습니다. 또한 통화 품질이 우수하고, 보안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고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게 합니다.
  • 산악 지형 또는 혼잡한 도심지역에서 통화 품질이 우수합니다.

 

<공간 분할 다중 접속(SDMA :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 복수의 지역별 스폿 빔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수의 지구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위성 내에서 다중화하는 다중 접속의 방식입니다.
  • ※암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ess)>

  • 사용 시간(Time Slot)을 분할하는 방식입니다.
  • 통신 회선의 대역폭을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여러 대의 단말 장치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 대역폭의 이용도가 높아 고속 전송에 용이합니다.
  • 하나의 중계기를 매개로 하여 다수의 기지국이 다원접속하여 동일 주파수를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신호가 겹치지 않도록 상호 통신을 하는 방식입니다.
  • 디지털 이동전화 방식으로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려는 정보를 시간차이로 전송하고 수신시 시간차이로 복원해냄으로써 원래 신호를 재생합니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ess)>

  • 통신회선의 주파수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여러 대의 단말장치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송 신호에 따라 대역폭보다 전송 매체의 유효 대역폭이 큰 경우 사용합니다.
  • 여러 사용자가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여 접속이 가능한 다중 접속 방식으로 주어진 주파수를 여러개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주파수를 하나의 채널로 삼아 통화하는 방식입니다.
  • 시분할 다중화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저속의 비동기식 전송, 멀티 포인트 방식, 아날로그 신호 전송에 적합합니다.
  • 대역폭을 나누어 사용하는 각 채널들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대역(Guard Band)가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대역폭 낭비가 초래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TV 방송이나 CATV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론은 읽어보시면 좋아요. 암기하기 힘드시다면 각각의 영어 이름은 기억하셔야해요


58. 다음 중 무궁화위성과 같은 정지형 통신위성의 위치로 적합한 것은?

. 지상 약 15000[km] 상공

. 지구 북회귀선상 약 25000[km] 상공

다. 지구 적도 상공 약 36000[km] 상공

. 지구 극점 상공 약 45000[km] 상공

 

 

가끔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통신위성은 3,600km상공에 있습니다.


59. 정보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데이터 처리계에 해당하는 것은?

가. 단말장치

. 데이터 전송회선

. 통신제어장치

라. 중앙컴퓨터

 

데이터 통신 전송계에는 DTE, DCE, 전송 회선, 통신 제어 장치가 있습니다.

데이터 통신 처리계에는 컴퓨터 장치(H/W)와 컴퓨터 프로그램(S/W)이 있습니다.

 

중앙처리장치(CPU)는 컴퓨터의 제어와 산술논리 연산을 담당하는 장치이므로 처리계에 해당 됩니다.

 

<데이터 전송계>

↘<DTE(Data Terminal Equipment)(단말 장치)>

  • 단말장치로 데이터 통신 시스템과 외부 사용자의 접속점에 위치하여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입,출력 하는 장치이며 입출력, 전송제어, 기억 기능을 수행합니다.
  • 내장 프로그램의 유무에 따라서 스마트 단말기 더미 단말기가 있습니다.

↘ <DCE(Data Circuit Equipment)(신호 변환장치)>

  •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 라고 하며 컴퓨터나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적합한 신호로 변경하거나 통신 회선의 신호를 컴퓨터나 단말 장치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경하는 신호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대표적으로 DSU, MODEM, CODEC이 있습니다

↘ <CCU(Communication Control Unit)(통신 제어장치)>

  • 데이터 전송 회선과 주 컴퓨터 사이에 위치하여 컴퓨터가 처리만 할수 있도록 컴퓨터를 대신해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 전송제어, 동기 및 오류 제어, 제어 정보 식별, 기밀 보호 등을 합니다.

↘ <전송 회선(통신 회선)>

  • 통신 회선은 단말장치에 입력된 데이터 또는 컴퓨터에서 처리된 결과가 실질적으로 전송되는 전송 선로입니다.
  • 유선 : 꼬임선,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등과 같이 실제 물리적 선
  • 무선 : 라디오파, 지상 마이크로파, 위성 마이크로파 등

 

<데이터 처리계>

컴퓨터(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각각의 내용을 기억하고 계시면 좋아요

 


60. 다음 중 전송선로의 무왜곡 조건은? (단, R : 저항, C : 정전용량, G : 누설컨덕턴스, L : 인덕턴스)

가. RC = LG

. RL = CG

. RG = LC

. RL = CG

 

 

전송 선로의 무왜곡 조건은 LG=RC입니다.

※송신된 정현파 입력이 수전단에 일그러짐 없이 도달되는 회로입니다. (정답만 암기하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