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9-01]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 해설 윈도우 10 재구성
[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그래픽 데이터의 표현에서 벡터(Vector)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 또는 곡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한다.
② 이미지를 확대하면 테두리에 계단 현상과 같은 앨리어싱이 발생한다.
③ 래스터 방식이라고도 하며 화면 표시 속도가 빠르다.
④ 많은 픽셀로 정교하고 다양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점과 점을 연결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을 '벡터'방식입니다.
이외는 비트맵의 특징입니다.
<벡터(Vector)>
- 하나의 화면에 위치하는 각 점과 점 사이를 직선이나 곡선으로 이어 그려주는 표시 방법입니다.
- 주어진 벡터 값 기반으로 이미지를 화면에 매번 그려주므로 이미지 사이즈가 변경 되더라도 해상도가 낮아지거나 선명도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 좌표 개념을 도입하여 이동, 회전과 같은 변경이 쉽습니다.
- 대표적으로 AI, DXF, WMF, 등이 있습니다.
<비트맵(Bitmap)>
- 픽셀(Pixel)로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래스터(Raster) 이미지라고도 합니다..
- 픽셀은 사각형 점이므로 이미지를 확대하면 이 사각형 점으로 인하여 표면이 거칠게 표현되는 ’앨리어싱 현상(계단현상)‘이 발생합니다.
- 다양한 색상 표현으로 사실적인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지만 색채와 명암을 표현하려면 많은 정보가 필요하여 벡터 방식에 비하여 저장 공간을 많이 차지합니다.
- 대표적으로 BMP, JPG, GIF, TIF,PNG 등이 있습니다.
2. 다음 중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VR이란 컴퓨터가 만들어 낸 가상세계의 다양한 경험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과 시뮬레이션 기능 등 관련 기술을 통틀어 말한다.
② LBS란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실시간 TV와 생활정보, 교육 등의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③ VCS란 화상회의시스템으로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과 비디오와 오디오를 통해 회의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이다.
④ VOD란 주문형 비디오로 보고 싶은 영화나 스포츠 뉴스, 홈 쇼핑 등 가입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이다
LBS는 위치 기반 서비스로 위치를 추적, 특정 장소의 날씨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입니다.
실시간 TV나 교육 등의 서비스와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문제에서 말하는 기능은 IPTV 또는 스마트 TV를 말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
- 휴대전화나 PDA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이동 통신망과 IT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위치기반 서비스입니다.
- 통신 기지국 또는 GPS와 연결된 칩을 부착하여 위치 추적, 공공 안전, 특정 장소의 날씨, 교통 정보, 생활 정보, 부동산, 관광 정보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스마트 TV(Smart TV)>
- 디지털 TV에 운영체제(OS) 및 인터넷 접속 기능을 탑재해 실시간 방송, VOD, 각종 앱 설치,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와 편리한 이용자 환경을 이용할수 있는 TV입니다.
IPTV(Internet Protocol TV)
-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텔레비전 방송으로 실시간 방송 , VOD,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합니다.
- 인터넷과 TV과 융합된 것으로 셋톱박스를 통해 시청할 수 있습니다.
※ 추가 내용
<가상 현실(VR : Virtual Reality)>
-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특정한 장소나 상황을 3차원(3D) 그래픽으로 구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화상 회의 시스템(VCS : Video Conference System)>
-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과 설치되어 있는 TV화면을 통해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전송 받아 한 사무실에서 회의를 하는 것처럼 효과를 내는 장치입니다.
<VOD(Video On Demand :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 다양항 영상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영상을 원하는 시간에 선택해서 볼수 있는 맞춤 영상 정보 서비스입니다.
-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또는 텔레비전(TV) 등을 통해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재생중 정지, 반복 재생도 할 수 있습니다.
3. 다음 중 Windows에서 아래 그림의 [오류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폴더와 파일의 오류를 검사하여 발견된 오류를 복구한다.
② 디스크의 물리적 손상 영역인 불량 섹터를 검출한다.
③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선택하여 오류 검사를 할 수 있다.
④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좋다.
디스크 검사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DVD, CD-ROM 등은 오류 검사를 할 수 없습니다.
<드라이브 오류 검사(디스크 검사)>
- 디스크의 논리적이나 물리적으로 손상된 부분을 점검하여 발견된 오류를 수정(복구)하는 것으로 디스크의 물리적으로 손상이 있다면 검사후 복구 가능한 에러는 복구해 주는 기능입니다.
- 배드섹터(HDD의 물리적이나 논리적으로 손상을 입어 판독할 수 없는 현상 또는 섹터)를 표시합니다.
- 오류검사는 손상된 부분을 복구할 때 교차 연결된 파일이 발견되면 제거하거나 백업(예비저장)해 줍니다.
- 네트워크 드라이브나 ODD(CD, DVD)는 오류 검사를 할 수 없습니다.
※ 추가 설명
<네트워크 드라이브(Network Drive)>
- LAN 등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로 접속된 다른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등을 자신의 PC에 연결된 드라이브인 것처럼 사용하는 것입니다.
- 복수의 사용자들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드라이브로 하나의 작업 집단에 속한 많은 사람들이 자료 파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4. 다음 중 Windows 사용 시 메모리(RAM) 용량 부족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② 불필요한 자동 시작 프로그램을 삭제한다.
③ 시스템 속성 창에서 가상 메모리의 크기를 적절히 설정한다.
④ 휴지통에 있는 파일을 삭제한다.
휴지통의 파일의 경우 HDD(하드디스크) , SSD와 같은 보조 기억장치의 용량이 부족할 때 하는 일 입니다.
RAM은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RAM(Random Access Memory)> ≒ DRAM
- 주기억장치는 CPU가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억장치로, 현재 수행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내부 기억장치라고도 합니다.)
-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 또는 ‘메모리’라 함은 RAM을 의미합니다.
- RAM은 각 위치를 주소로 표시하며 자료가 있는 주소에 새로운 자료가 들어가면 기존의 데이터는 삭제되고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모두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 추가 설명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 보조기억장치(주로 HDD를 사용)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사용할시 유용합니다.
- 가상 메모리를 사용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 실행은 가능하지만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만큼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가상 메모리의 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페이징 기법과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소실되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5. 다음 중 Windows에서 바로 가기 아이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원본 파일이 있는 위치와 다른 위치에 만들 수 있다.
② 원본 파일을 삭제하여도 바로 가기 아이콘을 실행할 수 있다.
③ 바로 가기 아이콘의 확장자는 LNK 이다.
④ 하나의 원본 파일에 대하여 여러 개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원본 파일이 삭제되면 연결된 바로가기 아이콘은 실행할 수 없습니다.
<바로가기 아이콘(단축 아이콘)>
- 자주 사용하는 문서나 앱,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으로 원본 파일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 폴더나 파일, 다른 컴퓨터, 프린터 등등, 모든 개체에 대해 작성할 수 있으며 아이콘의 왼쪽 하단에 화살 표시가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 확장자는 .LNK이며 컴퓨터에 여러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하나의 원본에는 여러개의 바로가기 아이콘이 존재 할 수 있고 하나의 바로가기에는 단 하나의 원본만을 연결 할 수 있습니다.
- 바로가기 아이콘은 원본의 위치와 관계없이 만들 수 있고 삭제, 복사, 이동 하더라도 원본파일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만드는 방법으로는 ‘바로가기 메뉴(우클릭)’를 통하여, ‘Ctrl + Shift’ 드래그로 만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드래그로 만들 수 있습니다.)
- ※단, 원본파일 삭제시 바로가기 아이콘은 실행되지 않습니다.
6. 다음 중 Windows에 포함되어 있는 백신 프로그램으로 스파이웨어 및 그 밖의 원치 않는 소프트웨어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은?
① Windows Defender
② BitLocker
③ Archive
④ Malware
바이러스와 스파이웨어 등으로 부터 개인 정보나 시스템을 방어(Defend)하는 프로그램입니다.
<Windows Defender>
-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무료 바이러스 및 스파이웨어 방지 프로그램입니다.
- 해커나 악성 소프트웨어가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PC에 액세스하는 것을 실시간 보호 기능을 통해 탐지하고 제거하며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보안을 유지합니다.
<Bitlocker>
-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디스크 암호화 기능으로 드라이브 전체를 암호화하여 데이터를 보호하고 무단 액세스를 방지합니다.
- ※ 제가 가지고 있는 윈도우10 Home 버전에는 이 기능이 없어서 스크린샷 첨부가 어렵네요
<아카이브(Archive)>
- 원본에서 만들어지며 원본 재현이 충분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파일로 데이터를 보관하는 목적을 갖습니다.
- 기록 보관소의 의미가 있으며 데이터의 보전에 초점을 두기에 갱신에 대하여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 데이터의 무결성을 위해 데이터 및 메타 데이터와 연결하여 함께 유지 보관합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파일과 메타 데이터를 통합, 일정한 형식으로 저장하는 파일을 아카이브 파일이라 합니다.
<멀웨어(Malware = Malicious Software)>
- 컴퓨터의 사용자 몰래 시스템에 침투하거나 시스템을 파괴, 정보를 유출, 등 피해를 입히기 위해 의도적으로 제작된 소프트웨어로 악성코드라 합니다.
- 특정 사이트를 접속만으로도 감염 시킬 수도 있습니다
7. 다음 중 Windows의 작업 표시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작업 표시줄 잠금을 설정하여 작업 표시줄의 위치나 크기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② 마우스 포인터 위치에 따라 작업 표시줄이 표시되지 않도록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를 설정할 수 있다.
③ 작업 표시줄의 오른쪽 끝에 있는 [바탕 화면 보기] 단추를 클릭하여 바탕 화면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④ [작업 표시줄 아이콘 만들기] 기능을 이용하여 작업 표시줄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바탕 화면에 설정할 수 있다.
작업 표시줄 아이콘 만들기 기능은 없습니다. 다만 아이콘을 작업표시줄에 고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또한 작업 표시줄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바탕화면에 설정하는 것은 없습니다.
※ ↓ [ 설정] - [개인 설정] - [작업 표시줄] ↓
8. 다음 중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로 사용하는 SSD(Solid State Drive)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HDD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의 읽기나 쓰기가 가능하다.
② 물리적인 외부 충격에 약하며 불량 섹터가 발생할 수 있다.
③ 작동 소음이 없으며 전력소모가 적다.
④ 자기 디스크가 아닌 반도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SSD는 HDD처럼 디스크의 회전으로 읽기/쓰기가 아닌 플래시 메모리로 저장되는 방식으로 HDD에 비하여 충격에 강하며 배드 섹터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SSD(Solid State Drive)>
- 플래시 메모리를 탑재한 차세대 기억장치로 HDD와 비슷하게 동작하지만 SSD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고속으로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고 외부 충격에 강하여 배드 섹터가 발생할 가능석이 적습니다.
- 발열과 소음과 전력 소모가 적으며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합니다.
-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추가 설명
<HDD(Hard Disk Drive)>
- 자성 물질을 입힌 금속 원판을 여러 장 겹쳐서 만든 기억매체로 개인용 PC에서 보조 기억장치로 주로 사용됩니다.
- 가격 대비 큰 용량과 비교적 빠른 입출력 속도를 가졌습니다.
- 전력소모가 심하고 소음이 발생하며 외부 충격에 약하여 제품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습니다.
9. 다음 중 PC의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기본 입출력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모아 놓은 프로그램이다.
② 전원이 켜지면 POST(Power On Self Te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하고 사용 가능한 장치를 초기화한다.
③ RAM에 저장되며, 펌웨어라고도 한다.
④ 칩을 교환하지 않고도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BIOS는 펌웨어로 부팅과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기에 휘발성인 RAM에 저장할 수 없고 비 휘발성인 ROM에 저장하게 됩니다.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
- ROM에 저장되어 부팅시 가장 처음 컴퓨터의 제어를 맡아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컴퓨터의 기본 입. 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모아 놓은 것입니다.
- 구성 루틴은 스타트 업루틴과 서비스 루틴, 하드웨어 인터럽트 처리부분이 대표적입니다.
- 펌 웨어(Firm Ware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간 성격)라고도 하며 전원이 켜지면 POST(Power On Self Test)를 통하여 컴퓨터를 점검 후, 사용 가능한 장치를 초기화 합니다.
- BIOS의 CMOS 셋업을 통하여 시스템의 날짜, 하드디스크 타입, 부팅 순서, 시스템 암호 설정, 안티 바이러스 등을 설정합니다.
<ROM(Read Only Memory)>
- 기억된 내용을 읽을 수만 있는 기억장치로 일반적으로 쓰기는 불가합니다.
- 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
- ROM을 실제로 주기억 장치로 사용하지는 않으며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자가진단 프로그램(POST), 같은 변경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 보통 부팅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습니다.
※ RAM에 관한 설명은 4번 문항에 작성해 두었습니다
10. 다음 중 제어장치에서 사용되는 레지스터로 다음번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것은?
① 프로그램 카운터(PC)
② 누산기(AC)
③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AR)
④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Program Counter (PC) = 프로그램 계수기 입니다.
<누산기(Accumulator) = AC , ACC>
-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 동작을 수행한 후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입니다.
- 산술 연산 또는 논리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 대표적인 연산 장치로 1주소 명령어를 처리합니다.
<Memory Address Register(MAR ;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기억장치를 출입하는 데이터의 번지(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입니다.
<Memory Buffer Register(MBR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 기억장치를 출입하는 데이터를 잠시 기억하는 레지스터로 CPU가 데이터 처리시 반드시 거치게 되어 있습니다.
- 메모리에 액세스할 때 데이터를 메모리와 주변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을 용이하게 하며 지정된 주소에 데이터를 써 넣거나 읽어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11. 다음 중 컴퓨터 운영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운영체제는 컴퓨터가 작동하는 동안 하드 디스크에 위치하여 실행된다.
② 프로세스, 기억장치, 주변장치, 파일 등의 관리가 주요 기능이다.
③ 운영체제의 평가 항목으로 처리 능력, 응답시간, 사용 가능도, 신뢰도 등이 있다.
④ 사용자들 간의 하드웨어 공동 사용 및 자원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컴퓨터가 부팅됨과 함께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실행이 됩니다.
실행중인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가 아닌 주기억 장치인 RAM에 저장되어 실행됩니다.
※ RAM은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4번 문항에 작성해 두었습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 OS ≒ 시스템 소프트웨어>
-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처리능력 향상, 응답시간의 단축, 신뢰도 향상, 사용가능도 증대가 목적입니다.
- 제어 프로그램과 처리프로그램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제어 프로그램>
- 감시 : 프로그램의 실행과 시스템 전체의 작동 상태를 감시,감독
- 작업 관리 : 업무 처리후 다음 업무 이행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준비, 처리에 대한 완료 담당
- 데이터 관리 : 주기억 & 보조기억 장치의 자료 전송, 파일의 조작 및 처리, 입출력 자료와 프로그램간의 논리적 연결 등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파일과 데이터를 표준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리
↘<처리 프로그램>
- 언어 번역 : 원시프로그램을 목적프로그램으로 번역
- 서비스 :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시스템 제공자가 미리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주는 것
- 문제 해결 : 특정 업무 및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
12. 다음 중 아래의 ㉠, ㉡, ㉢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올바르게 짝지어 나열한 것은?
홍길동은 어떤 프로그램이 좋은지 알아보기 위해 ㉠누구나 임의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주로 일정 기간 동안 일부 기능을 제한한 상태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먼저 사용해 보고,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을 구입하여 사용하려고 한다. |
① ㉠ 프리웨어, ㉡ 셰어웨어, ㉢ 상용 소프트웨어
② ㉠ 셰어웨어, ㉡ 프리웨어, ㉢ 상용 소프트웨어
③ ㉠ 상용 소프트웨어, ㉡ 셰어웨어, ㉢ 프리웨어
④ ㉠ 셰어웨어, ㉡ 상용 소프트웨어, ㉢ 프리웨어
<프리웨어(Freeware)>
- 조건, 기간, 기능 등에 제한 없이 개인 사용자는 누구나 무료로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공개프로그램입니다.
- 영리적인 목적으로 배포할 수 없고 수정이 불가합니다.
<셰어웨어(Shareware)>
- 정식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먼저 체험할 수 있는 샘플 프로그램으로 기능 혹은 사용 기간에 제한을 두어 배포 되어지며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저작권에 따라 정식으로 구매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상용 소프트웨어(Commercial Software)>
- 판매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로 대부분 유료이며 정식적으로 대가를 지불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 실행 코드만 제공하고 소스코드는 배포하지 않으며 복제와 재배포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13. 다음 중 1GB(Giga Byte)에 해당하는 것은?
① 1024Bytes
② 1024×1024Bytes
③ 1024×1024×1024Bytes
④ 1024×1024×1024×1024Bytes
1Byte X 1,000 = 1,000Byte = 1KB 킬로바이트
1KB X 1,000 = 1,000KB = 1MB 메가바이트
1MB X 1,000 = 1,000MB = 1GB 기가바이트
1GB X 1,000 = 1,000GB = 1TB 테라바이트
※ 1,000이 실제로는 1024이지만 대략 1,000으로 표시 했습니다.
14. 다음 중 처리하는 데이터에 따라 분류되는 디지털 컴퓨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산술이나 논리 연산을 한다.
② 증폭 회로를 사용한다.
③ 프로그래밍이 필요 없다.
④ 기억 기능이 없다.
디지털 컴퓨터는 산술 논리 회로 , 아날로그 컴퓨터는 증폭회로를 사용합니다.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비교>
디지털 컴퓨터 | 아날로그 컴퓨터 | |
데이터 | 비연속 | 연속 |
입력 | 숫자, 문자 | 전류, 전압, 온도 |
출력 | 그래프 | |
속도 | 느림 | 빠름 |
회로 | 논리 회로 | 증폭 회로 |
용도 | 범용(일반 컴퓨터) | 전용 (특수 목적용) |
아날로그 컴퓨터 장점 + 디지털 컴퓨터 장점 = 하이브리드 컴퓨터 |
※아날로그 컴퓨터나 디지털 컴퓨터 중 하나는 기억해 두셔야 구분해서 문제를 풀수 있어요
15. 다음 중 컴퓨터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예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방화벽을 설정하여 사용한다.
② 의심이 가는 메일은 열지 않고 삭제한다.
③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실행한다.
④ 정기적으로 Windows의 [디스크 정리]를 실행한다.
디스크 정리의 경우 불필요한 파일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여유 공간을 만드는 기능입니다.
바이러스감염과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디스크 정리>
-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 없는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입니다.
- 다운로드한 임시파일, 휴지통, 임시 파일, 미리보기 사진파일 등을 삭제 합니다.
- 시스템 파일 정리를 클릭하여 기타 옵션 탭을 추가하면 설치한 후 사용하지 않는 앱과 시스템 복원 지점을 제거하여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 [디스크 정리] ↓
16. 다음 중 유명 기업이나 금융기관을 사칭한 가짜 웹 사이트나 이메일 등으로 개인의 금융정보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유도하여 예금 인출 및 다른 범죄에 이용하는 컴퓨터 범죄 유형은?
① 웜(Worm)
② 해킹(Hacking)
③ 피싱(Phishing)
④ 스니핑(Sniffing)
가짜 사이트로 사람을 낚시(피싱 : Phishing)한다고 기억하시면 좋아요
<피싱(Phishing)>
- 개인정보(Private data)와 낚시(Fishing)의 합성어로 개인정보를 낚는다는 의미. 금융기관 또는 공공기관을 가장해 전화나 이메일로 인터넷 사이트에서 보안카드 일련번호와 코드번호 일부 또는 전체를 입력하도록 요구해 금융 정보를 몰래 빼가는 수법입니다.
<웜 바이러스(Worm virus)>
- 자기복제를 하는 바이러스로 컴퓨터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과부하를 발생하여 시스템의 작업 지연 또는 방해하며 다운시키기 까지 하는 바이러스입니다.
- 전자 우편을 통하여 전달되는 경우가 많으며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른 특징이 있습니다.
- 분산 서비스 거부(DDos), 버퍼 오버플로 공격, 슬래머 등이 있습니다.
<해킹(Hacking)>
- 컴퓨터 네트워크의 취약한 보안망에 불법적으로 접근, 침투하여 시스템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행위를 말합니다.
- 허가 받지 않은 정보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료를 열람, 변조, 및 삭제, 전산망을 마비하는 악의적인 행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프로그램의 소스를 알아내거나 프로그램 소스를 변경하는 모든 행위로 자신만의 취향에 맞추어 변경하거나 장난을 치는 것이었습니다. 처음부터 악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는 않았습니다.
- ※현재는 악의적인 의미로 주로 해킹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악의성만 가지고 행동하는 사람을 '크래커(Cracker)'라 합니다.
<스니핑(Sniffing)>
- 송수진자 사이에서 정보를 가로채거나 가로챈 정보를 이용하여 악의적인 공격에 이용하는 것입니다.
- 도청과 같은 것으로 ’엿보다‘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네트워크 상에서 지나다는 패킷을 가로채기하게 됩니다.
17. 다음 중 [제어판]에서 [인터넷 옵션] 창의 [일반] 탭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마지막 세션 또는 기본 홈페이지로 웹 브라우저의 시작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② 임시 파일, 열어본 페이지 목록, 쿠키 등을 삭제할 수 있다.
③ 웹 페이지의 색, 언어, 글꼴, 접근성 등을 설정할 수 있다.
④ 기본 웹 브라우저와 HTML 편집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기본 웹 브라우저나 프로그램(앱)의 설정의 경우 [설정] - [앱] - [기본 앱] 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인터넷 속성]-[일반] ↓
※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인터넷 속성]-[일반] ↓
18. 다음 중 사물에 전자 태그를 부착하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물의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기술은?
① 텔레매틱스
② DMB
③ W-CDMA
④ RFID
'사물에 전자 태그를 부착', '주변 상황 정보를 감지'가 가장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 라벨, 카드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인식 시스템입니다.
- IC칩과 무선을 통하여 동.식물, 사물 등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인식 기술입니다.
- RFID시스템은 태그, 안테나, 리더기 등으로 구성되어 정보를 무선으로 수미터에서 수십미터까지 보내어 이 신호를 리더기가 받아 정보를 해독하여 컴퓨터에서 보내져 처리됩니다.
-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빛을 전파하여 장거리로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합니다.
<텔레매틱스(Telematics)>
- 텔레매틱스는 차량과 정보통신 기술을 결합한 시스템으로, 차량의 위치, 주행 데이터,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차량 관제, 보험, 유지보수, 운전 습관 분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로 대한 민국에서 개발한 모바일 방송 규격입니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3세대(3G) 이동 통신 기술로,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넓은 대역폭을 사용합니다. 사용자는 고유한 코드를 할당받아 동시에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주파수 이용이 가능합니다.
-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로,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주로 휴대전화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 사용됩니다.
19. 다음 중 Windows의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사용하는 PING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② 인터넷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서비스이다.
③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서비스이다.
④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를 알아보는 서비스이다.
<ping>
- 원격 컴퓨터가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정보의 작은 단위를 전송하여 응답시간을 확인해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해당 컴퓨터의 이름과 IP주소, 전송 신호의 손실 률 및 응답시간이 표시됩니다.
1번.
<텔넷(Telnet : Telecommunication Network)>
-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를 접속할 때 지원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원격 접속 컴퓨터로 텔넷을 이용하려면 원격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
3번.
<Tracert>
- 지정된 호스트에 도달할 때까지 연결되어 통과하는 경로를 IP로 표시해 주는 명령입니다.
- IP 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표시해 줌으로 네트워크가 느려지거나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무엇이 문제인지 표시해 줍니다.
4번.
<핑거(Finger)>
- WWW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로 현재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상대 컴퓨터가 로그인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또한 마지막 접속 시간, 단말 장치, 전자 우편을 수신하였는지에 대하여도 알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20. 다음 중 정보통신에서 네트워크 관련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라우터(Router):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 정보 전송을 위한 최적의 경로를 찾아 통신망에 연결하는 장치
② 허브(Hub):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고, 각 회선들을 통합 관리하는 장치
③ 브리지(Bridge):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다시 수신된 신호를 원래대로 변환하기 위한 전송 장치
④ 게이트웨이(Gateway):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장치로 근거리통신망(LAN)과 같은 하나의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할 때 사용되는 장치
디지털 신호를 네트워크 전송이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후 다시 원래대로 변환하는 장치는 '모뎀'입니다.
<모뎀 MODEM(MOdulator / DEModulator)>
- 컴퓨터나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회선에 적합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MOdulator) 과정과 반대의 과정인 복조(DEModulator) 과정을 수행합니다.
- 디아변(디지털 > 아날로그 = 변조), 아디복(아날로그 > 디지털 = 복조) 으로 기억해 두시면 도움이 됩니다. 최소한 둘중 하나는 암기해 두셔야 합니다.)
- 디지털 데이터를 공중 전화 교환망(PSTN)과 같은 아날로그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할 때 사용되며 모뎀에 포함된 등화 회로는 신호의 전송중에 발생하는 신호의 감쇠 왜곡과 전송 지연 왜곡을 방지합니다.
- 원거리 전송에 주로 사용되며 변복조, 자동 응답, 반복 호출, 자동 속도 조절 기능 등이 있습니다.
※ 추가 설명
<라우터(Router)>
- 인터넷 접속시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전송합니다.
- 효율적인 속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흐름을 제어하며 수신된 정보에 의하여 자신의 네트워크나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점을 결정합니다.
-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허브(Hub)>
-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한꺼번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합니다.
- 단순 연결만하는 더미 허브와 흐름도 제어 가능한 스위치 허브가 있습니다.
- OSI 7계층의 물리 계층에 해당됩니다.
<게이트 웨이(Gate Way)>
- 통신 네트워크의 출입문으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과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등을 수행합니다.
- 네트워크 사이에 IP패킷을 라우팅하거나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 (코참)-자격증 >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골개] 컴퓨터 활용능력 2급 필기 2019년 03월 02일 기출문제 풀이 1과목 윈도우 10 재구성 (1) | 2024.06.25 |
---|---|
[시골개] 컴퓨터 활용능력 2급 2018년 09월 01일 기출문제 풀이 2과목 오피스21버전 (0) | 2024.06.24 |
[시골개]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2018년 03월 03일 기출문제 풀이 2과목(오피스21) (0) | 2024.06.18 |
[시골개]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2018년 03월 03일 기출문제 풀이 윈도우 10 재구성 1과목 (0) | 2024.06.17 |
[시골개]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2017년 09월 02일 기출문제 풀이 오피스 21버전 2과목 (2)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