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상공회의소 (코참)-자격증/워드프로세서 (필기)

[시골개] 워드프로세서 필기 2016년 03월 05일 기출 문제 풀이 윈도우10 재구성 (part.2)

by 누런마음황구 2024. 5. 22.
728x90
반응형

[16-03-05] 워드필기 기출문제 풀이 윈도우 10 재구성 31번 ~ 60번

[2과목 : PC 운영체제 31번 ~ 40번]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10의 설치된 기본 프린터의 [인쇄 작업 목록 보기] 창에서 가능한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인쇄 일시 중지

② 설치된 프린터 제거

프린터 속성 지정

인쇄 기본 설정 지정

 

설치된 프린터 제거는 제어판의 [장치 및 프린터] 또는 설정의 [프린터 및 스캐너]에서 제거 가능합니다.

 

↓ [설정] - [장치] - [프린터 및 스캐너] - [장치 제거] ↓

 

↓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장치 및 프린터] - [바로가기 메뉴] - [장치 제거] ↓

 

↓ [인쇄 작업 목록 보기] ↓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10에서 디스크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디스크 검사는 폴더와 파일의 오류를 검사하여 발견된 오류를 복구한다.

디스크 검사는 손상된 부분을 복구할 때 교차 연결된 파일이 발견되면 제거하거나 백업한다.

③ ‘파일 시스템 오류 자동 수정’ 옵션을 선택하면 파일과 폴더의 오류가 발견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오류 수정 여부를 물어 본 후 수정한다.

④ ‘불량 섹터 검사 및 복구 시도’ 옵션을 선택하면 파일과 폴더의 오류뿐만 아니라 디스크 표면을 검사하여 디스크에 생긴 물리적인 오류도 찾아 준다.

 

3,4번 보기의 내용이 윈도우 10에서는 사라졌습니다.

아래의 이론적 설명을 기억해 두세요

 

<드라이브 오류 검사(디스크 검사)>

  • 디스크의 논리적이나 물리적으로 손상된 부분을 점검하여 발견된 오류를 수정(복구)하는 것으로 디스크의 물리적으로 손상이 있다면 검사후 복구 가능한 에러는 복구해 주는 기능입니다.
  • 배드섹터(HDD의 물리적이나 논리적으로 손상을 입어 판독할 수 없는 현상 또는 섹터)를 표시합니다.
  • 오류검사는 손상된 부분을 복구할 때 교차 연결된 파일이 발견되면 제거하거나 백업(예비저장)해 줍니다.
  • 네트워크 드라이브나 ODD(CD, DVD)는 오류 검사를 할 수 없습니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10에서 레지스트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려면 시작 메뉴의 검색 상자에서 ‘regedit’를 입력하여 실행한다.

레지스트리란 Windows 사용자의 정보, 응용 프로그램의 정보, 설정 사항 등 Windows 실행 설정에 대한 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이다.

레지스트리가 손상되면 Windows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④ 레지스트리는 백업을 받을 수 없으므로 함부로 삭제하거나 실수하는 일이 없도록 신중하게 편집하여야 한다.

 

레지스트리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당연히 백업(예비저장)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 ↓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가져오기 내보내기 기능을 통하여 저장 및 불러오기도 가능합니다. ↓

 

<레지스트리(Registry)>

  • 윈도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모아 관리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입니다.
  • 운영체제 안에서 작동하는 모든 프로그램의 시스템 정보와 프로세서의 종류, 주기억 장치 용량, 주변 장치 정보, 시스템 매개 변수, IRQ, I/O 주소 DMA 등과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 관리됩니다.
  • regedit와 같은 편집 앱을 통하여 편집도 가능합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10에서 문제 해결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디스크 공간이 부족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응용프로그램들의 실행을 종료한다.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에는 가상 메모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휴지통, 임시파일,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 등을 삭제한다.

정상적인 부팅이 안 되는 경우에는 안전모드로 부팅하여 문제를 해결한 후에 정상모드로 재부팅한다.

시스템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에는 디스크 조각모음을 실행하여 하드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한다.

 

디스크 공간이 부족한 경우 불필요한 파일을 제거하여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유틸리티는 '디스크 정리'가 있습니다.

 

<디스크 정리>

  •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 없는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입니다.
  • 다운로드한 임시파일, 휴지통, 임시 파일, 미리보기 사진파일 등을 삭제 합니다.
  • 시스템 파일 정리를 클릭하여 기타 옵션 탭을 추가하면 설치한 후 사용하지 않는 앱과 시스템 복원 지점을 제거하여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 [디스크 속성]-[디스크 정리] ↓

 

※ 추가 설명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 보조기억장치(주로 HDD를 사용)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사용할시 유용합니다.
  • 가상 메모리를 사용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 실행은 가능하지만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만큼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가상 메모리의 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페이징 기법과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소실되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안전 모드(Safe mode)>

  • 컴퓨터가 비 정상적으로 작동 될 때 컴퓨터에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장치만으로 부팅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모뎀(네트워크 통신 장치), 사운드 카드, 등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네트워크 사용이 필요한 경우 ‘안전모드(네트워킹 사용)’으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 DOS모드가 필요한 경우 ‘안전모드(명령 프롬프트 사용)’으로 부팅 가능합니다.

 

<드라이브 최적화 및 조각 모음(디스크 조각모음)>

  • 디스크에서 분산된 단편화된 공간들을 연속 공간으로 최적화하여 접근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입니다.(단편화 제거)
  • 디스크의 용량 증가와는 관계가 없으며 접근속도와 안정성이 향상이 됩니다.
  • 일정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디스크 조각 모음이 수행되도록 예약이 가능합니다.
  • CDROM 및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대해서는 조각모음이 불가합니다.
  • 디스크 조각모음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컴퓨터를 일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10에서 컴퓨터에 연결된 하드웨어 중에서 [장치 및 프린터] 창에 표시되지 않는 장치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장치

② 사운드 카드, 그래픽 카드, 메모리 등과 같이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장치

외장 USB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드라이브, 웹캠 등과 같이 USB 포트에 연결하는 모든 장치

컴퓨터에 연결된 모든 프린터

 

케이스 외부에 연결된 장치는 제어판의 [장치 및 프린터] 또는 설정의 [장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케이스 내부에 연결된 장치는 [장치 관리자]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장치 및 프린터] ↓

 

↓ [설정] - [장치] ↓

 

↓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장치 및 프린터] - [장치 관리자] ↓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10의 제어판에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파일 형식 및 프로토콜을 열 때 사용할 기본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파일 형식 및 프로토콜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에서 항상 열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각 유형의 미디어나 장치를 삽입할 때 발생하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웹 브라우징이나 전자메일과 같은 작업에 사용할 기본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기본 앱으로 설정을 위해 선택은 할수 있지만 설치는 없습니다.

※실행 가능한 앱이 없는 경우 인터넷 웹이나 앱 스토어에서 검색하여 설치 할수 있게 도와 줍니다.

 

※ ↓  [설정] - [앱] - [기본 앱]  ↓

 

※ ↓ 실행 앱이 없을 경우 앱을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  ↓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10[마우스] 창에서 가능한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마우스 포인터의 지정

② 포인터의 생성 및 수정, 삭제

휠을 한 번 돌릴 때 스크롤할 양

두 번 클릭의 속도

 

마우스 속성에서는 다운로드되거나 설치되어 있는 포인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생성하거나 수정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할 수 있으며 포인터 추가의 경우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하여 할 수 있습니다.

 

※ ↓ [설정] - [장치] - [마우스] ↓

설정 장치 마우스

 

※ ↓ [제어판] - [하드웨어 및 소리] - [장치 및 프린터] - [마우스]  ↓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에서 네트워크 설정 변경과 관련이 없는 것은?

새 연결 또는 네트워크 설정

② 네트워크에 연결

③ 홈 그룹 및 공유 옵션 선택

④ 인터넷 연결 공유

 

3,4번 보기의 경우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에 없는 내용입니다.

 

※홈 그룹 기능은 윈도우10에서 업데이트를 통하여 기능이 제거 되었습니다. 

홈 그룹이 없어도 파일이나 프린터 공유는 윈도우의 기능으로 공유가 가능합니다.

홈 그룹 및 공유 옵션은 사라졌네요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상태]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39. 다음 중 한글 Windows 10에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웹 서버와 HTTP 프로토콜로 통신한다.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동영상, 소리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자주 방문하는 웹 사이트 주소를 관리하는 기능이 있다.

④ 웹 서버에 있는 홈페이지를 수정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만으로 웹 서버에 있는 홈페이지를 수정할수는 없습니다. 

홈페이지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로 수정을 하거나 웹 에디터 프로그램으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딱히 중요한 문제는 아닙니다. 각각의 보기에 대한 내용을 따로 정리하고 넘어갈께요

 

1번.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브라우저 사이에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분산 하이퍼 미디어 환경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통신규약)입니다.

2번. 

<플러그 인(Plug-in)>

  • 기존 응용 소프트웨어에 특정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 웹 브라우저에서는 웹 브라우저가 표시할 수 없는 각종 형식의 파일(영상 및 오디오)을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도록 합니다.

3번.

<즐겨찾기(Bookmark)>

  • 인터넷 웹 브라우저에서 다시 방문하고 싶은 웹사이트나 자주 사용하는 웹 사이트의 URL를 등록 보존하는 기능입니다.
  • 핫 리스트(Hot list)라고도 하며 익스플로러에서는 ‘즐겨찾기(Favorite)’라고 했었습니다.
  • 파일 탐색기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개체를 등록하여 해당 개체로 빠르게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10[어댑터 옵션 변경의 속성]에서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QoS 패킷 스케줄러 :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 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Microsoft Networks용 클라이언트 : 사용자 컴퓨터에서 네트워크에 있는 리소스를 액세스 할 수 있게 한다.

Microsoft 네트워크용 파일 및 프린터 공유 : 다른 컴퓨터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사용자 컴퓨터의 리소스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Internet Protocol Version 6(TCP/IPv6) : 다양하게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의 최신 버전이다.

 

Qos 패킷 스케줄러는 트래픽 제어를 제공한다는 점만 기억하셔도 충분해요

대역폭을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Link-Layer Topology Discovery 매퍼 I/O 드라이버 입니다.

 

<Qos 패킷 스케줄러>

  •  Qos(Quality of Service) 패킷 스케줄러. 이 구성 요소는 흐름 속도 및 우선 순위 서비스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를 제공합니다.

< Link-Layer Topology Discovery 매퍼 I/O 드라이버>

  • 네트워크에서 다른 PC, 장치 및 네트워크 인프라 구성 요소를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어댑터 옵션 변경] - [속성]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연결] - [속성]

 

※다른 보기의 내용은 보기 설명만으로도 충분하므로 넘어 갈께요


728x90
반응형

[3과목 : 컴퓨터 및 정보 활용]


41.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 7비트의 크기 128개의 문자 표현 가능
· 자료 처리나 통신 시스템에 사용

 

BCD코드

② ASCII코드

EBCDIC코드

GRAY코드

 

7bit의 통신용 코드는 ASCII입니다. 

7bit 는 2^7으로 128이 됩니다.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미국 표준국에서 개발되어 7bit 문자 체제로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3개의 Zone bit와 4개의 Digit Bit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 7bit 문자 코드로 128가지 문자 표현이 가능하여 영문 대.소 문자, 숫자, 문장 부호, 특수 제어 문자를 나타냅니다.
  • 패리티 비트가 포함되어 8bit로 사용됩니다.

 

<BCD코드>

  • 6bit 문자코드로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못합니다. (64가지 문자 표현 가능합니다.)

<EBCDIC>

  • 확장된 BCD 코드로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합니다. (256가지 문자 표현)

<그레이코드(Gray Code)>

  • 가장 대표적인 비가중치(자리값이 없는)코드로 인접 코드 간 오직 한자리만 변화하게(XOR 연산) 만들어진 코드입니다.
  • 1bit씩만 빠르게 변하기에 입출력 장치,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등에서 숫자를 표현할때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 1bit씩 변화시켜 수치를 증감 하기에 하드웨어 적인 오류가 적은 점이 있습니다. 

42. 다음 중 아날로그 컴퓨터와 비교하여 디지털 컴퓨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입력 형태로 전류, 전압, 온도, 속도 등이 가능하다.

② 논리 회로를 사용하며, 프로그래밍이 필요하다.

미분이나 적분에 관한 연산 속도가 빠르다.

특수 목적용으로 기억기능이 적다.

 

정답을 제외하고는 모두 '아날로그 컴퓨터'의 특징입니다.

 

<디지털 컴퓨터와 아날로그 컴퓨터의 비교>

  디지털 컴퓨터 아날로그 컴퓨터
데이터 비연속 연속
입력 숫자, 문자 전류, 전압, 온도
출력 그래프
속도 느림 빠름
회로 논리 회로 증폭 회로
용도 범용(일반 컴퓨터) 전용 (특수 목적용)
아날로그 컴퓨터 장점 + 디지털 컴퓨터 장점 = 하이브리드 컴퓨터

 

※아날로그나 디지털의 특징 둘중 하나는 정확하게 잘 기억하시면 문제풀때 막힘이 없어요


43.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트랙은 하드디스크 표면의 동심원을 말한다.

섹터는 트랙의 일부분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본 단위이다.

③ 클러스터는 하드디스크의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트랙들의 집합을 말한다.

헤드는 데이터를 읽어 내거나 쓰는 장치를 말한다.

 

중심축으로부터 같은 거리의 트랙의 집합을 '실린더'라 합니다.

 

<실린더(Cylinder)>

  • 플래터가 여러장일때 서로 다른 면에 있는 동일 트랙의 모임

<클러스터(Cluster)>

  • 하드디스크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논리적 단위입니다.
  • 운영체제에서 정한 할당된 장소의 기본 단위가 됩니다.

<트랙(Track)>

  • 하드디스크의 플래터 표면에서 회전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 입니다.

<섹터(Sector)>

  • 자기 드시크(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가 하드웨어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물리적 읽기 쓰기의 최소단위입니다.
  • 트랙을 일정하게 나눈 구간(부채꼴 모양)으로 정보 저장의 기본단위가 됩니다.

44.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기억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저장된 내용을 찾을 때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기억된 데이터의 내용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에 접근한다.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이용하여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확대된 것처럼 사용한다.

페이징(Paging)기법이나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기법을 이용한다.

주프로그램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시키고 CPU에 의해 실제로 사용할 부분만 주기억장치에 적재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저장된 내용으로 접근하는 기억장치는 '연상(연관) 메모리'입니다.

 

<연관(연상) 메모리(Associative Memory) = 내용 주소화 기억장치(CAM : Content-Addressable Memory)>

  • 주소를 참조하여 데이터를 읽어오는 방식이 아닌 저장된 내용을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어오는 기억장치입니다.
  • 정보 검색이 신속하하 구현이 복잡한 단점이 있고 캐시 메모리나 가상 메모리 관리기법에서 사용하는 매핑 테이블에 사용됩니다.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 보조기억장치(주로 HDD를 사용)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사용할시 유용합니다.
  • 가상 메모리를 사용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 실행은 가능하지만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만큼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 가상 메모리의 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페이징 기법과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소실되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페이징이나 세그멘테이션정도까지는 기억하실 필요는 없어요 가상메모리는 2번보기정도의 내용정도만 꼭 기억해 두세요


45. 다음 중 컴퓨터 CPU에 있는 연산 장치의 레지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누산기 : 2개 이상의 수를 입력하여 이들의 합을 출력하는 논리 회로 또는 장치

가산기 : 산술 연산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③ 데이터 레지스터 : 주기억 장치에서 보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④ 상태 레지스터 : 색인 주소 지정에 사용되는 레지스터

 

데이터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일시기억합니다.

데이터 레지스터(B,C,D,E,H,L)는 각 독립적으로 8bit 데이터를 취급하거나 BC, DE ,HL과 같이 쌍(pair)으로 하여 메모리 참조시에도 사용됩니다. (크게 중요한 레지스터가 아닙니다)

 

1번.  2번.

<누산기(Accumulator) = AC , ACC>

  •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 동작을 수행한 후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입니다.
  • 산술 연산 또는 논리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 대표적인 연산 장치로 1주소 명령어를 처리합니다.

<가산기(Adder)>

  • 2개 이상의 수를 입력받아 그 수를 합하여 출력하는 논리회로로 덧셈기라고도 합니다.
  • 반가산기와 전가산기가 있습니다.

4번.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 주소의 변경, 서브루틴 연결 및 프로그램에서의 반복 연산의 횟수를 세는 레지스터로 사용자가 내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플래그 레지스터(Flag Register) ≒ 상태 레지스터; Status Register, PSWR ; Program Status Word Register)>

  • 시스템 내부의 순간 순간의 상태가 기록된 정보를 PSW라고 하며 이를 기억하여 오버플로, 언더플로, 자리올림, 계산 상태, 인터럽트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레지스터 입니다.

46.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상용 소프트웨어는 정식으로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해야 한다.

셰어웨어는 기능이나 사용기간 등에 제한을 두어 배포한 것으로 무료이다.

③ 프리웨어는 개발자가 소스를 공개한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수정 및 배포할 수 있다.

알파 버전은 개발사 내에서 테스트를 목적으로 제작한 프로그램이다.

 

프리웨어는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소스공개나 수정 배포는 할 수 없습니다.

소스를 공개하는 소프트웨어는 '공개 소프트웨어' 입니다.

 

<프리웨어(Freeware)>

  • 조건, 기간, 기능 등에 제한 없이 개인 사용자는 누구나 무료로 사용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공개프로그램입니다.
  • 영리적인 목적으로 배포할 수 없고 수정이 불가합니다.

<공개 소프트웨어(Open Software)>

  • 개발자가 소스 코드를 일반에 공개한 소프트웨어로 일정한 허가 범위를 지키면 소프트웨어를 쓰거나 수정 및 재배포를 할 수 있습니다.

 

※ 추가 설명

<상용 소프트웨어(Commercial Software)>

  • 판매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로 대부분 유료이며 정식적으로 대가를 지불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 실행 코드만 제공하고 소스코드는 배포하지 않으며 복제와 재배포도 허용되지 않습니다.

<셰어웨어(Shareware)>

  • 정식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먼저 체험할 수 있는 샘플 프로그램으로 기능 혹은 사용 기간에 제한을 두어 배포 되어지며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저작권에 따라 정식으로 구매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알파 테스트(Alpha Test) ≒ 알파 버전>

  • 베타 테스트 전 제작 회사 내의 초기 개발자들이 자신들이 개발한 전자출판이나 프로그램이 실제 활용에 이상이 없는지 테스트 목적으로 제작하는 것입니다.

47. 다음 중 컴퓨터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링커(Linker) : 원시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것

덤프(Dump) : 프로그램의 오류를 체크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내용을 그대로 출력하는 것

로더(Loader) : 목적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에 적재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해주는 프로그램

버그(Bug) :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오류나 결함

 

링커는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연결을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것은 '디버그(디버깅)'이라 합니다.

 

<링커(Linker)>

  • 컴파일된 목적프로그램들과 어셈블된 루틴들을 라이브러리, 다른 실행 프로그램 등을 하나의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 연결 기능만 수행하는 로더의 형태로 이러한 링커에 의하여 수행되는 작업을 링킹(Linking)이라 합니다.

※ 추가 설명

<로더(Loader)>

  • 컴퓨터 내부로 정보를 들여오거나, 로드 모듈을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로부터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입니다.
  • 할당(Allocation), 연결(Linking), 재배치(Relocation), 적재(Loading) 과 같이 4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 할당 :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장치 내에 옮겨 놓을 공간을 확보
  • 연결 : 부 프로그램 호출 시 그 부프로그램이 할당된 기억장소의 시작주소를 호출한 부분에 등록하여 연결하는 것
  • 재배치 :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각 주소들을 할당된 기억장소의 실제 주소로 배치
  • 적재 : 실행 프로그램을 할당된 기억공간에 실제로 옮기는 것

<덤프(Dump)>

  • 프로그램의 오류 체크하거나 수정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검사가 필요하여 기억장치나 파일 내용의 전체 또는 일부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 메모리의 영역의 내용을 출력장치에 출력을 하며 이를 메모리 덤프, 덤프 메모리라 합니다.

<버그(Bug)>

  • 소프트웨어(S/W)나 하드웨어(H/W)에 발생한 오류나 오동작을 의미하며 프로그램 코딩중 발견된 혹은 발생된 오류또한 버그라 합니다.

48. 다음 중 PC의 업그레이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때는 CMOS Setup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할 때는 컴퓨터 전원을 끄고 작업한다.

RAM을 업그레이드할 때는 메인보드와 운영체제의 지원 사항을 먼저 확인한다.

하드디스크를 업그레이드할 때는 용량과 RPM, 전송속도를 고려한다.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 할때에는 '패치 프로그램'이나 업데이트를 통하여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CMOS Setup은 부팅 설정에 관련된 내용이 됩니다.

 

<패치 프로그램(Patch program)>

  • 이미 제작하여 배포된 프로그램의 오류가 있는 부분을 수정하거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부를 변경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업데이트(Update) = 갱신>

  • 기존의 정보를 최신의 것으로 수정, 추가, 보완 하는 것입니다.
  • 기존 S/W(프로그램 : SoftWare)에 대하여 오류 수정, 새로운 기능을 추가, 기존의 기능을 삭제 등을 하는 것입니다.

<CMOS>

  • 컴퓨터에 관련된 전반적 정보(기기적 정보 및 부팅 순서 등등)를 가지고 ROM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의 내용은 가볍게 읽고 넘어가시길 바랄께요.

RPM(Revolution Per Minute)은 회전수로 하드디스크가 빠르게 돌수록 정보를 검색, 저장 속도가 빨라집니다. 


49. 다음 중 그래픽 데이터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BMP : Windows 운영체제의 표준 비트맵 파일 형식으로 압축하여 저장하므로 파일의 크기가 작은 편이다.

GIF : 인터넷 표준 그래픽 형식으로 8비트 컬러를 사용하여 최대 256 색상까지만 표현할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 표현이 가능하다.

JPEG : 사진과 같은 선명한 정지 영상 압축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으로 주로 인터넷에서 그림 전송에 사용된다.

PNG : 트루 컬러의 지원과 투명색 지정이 가능하다.

 

BMP는 초기부터 사용되어온 이미지 파일로 알고리즘이 단순하여 파일의 크기가 큰 단점이 있습니다.

 

<BMP>

  • MicroSoft의 윈도우, IBM의 OS/2 환경에서 사용되는 비트맵 그래픽 파일입니다.
  • 가장 단순한 구조로 알고리즘이 원시적이어서 파일의 크기가 매우 큰 단점이 있습니다.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 인터넷 표준 그래픽 형식으로 8bit를 사용하여 256가지 색상을 표현합니다.
  • 애니메이션 표현이 가능하며 무손실 압축 기법으로 압축시 화질의 손상이 없습니다.
  •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며 배경을 투명하게 처리 가능합니다.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 JPG>

  • 정지 영상을 표현하기위한 국제 표준 압축 방식으로 24bit(트루컬러 : True Color)를 사용하며 손실 압축과 무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합니다.
  • 가장 대표적인 사진(그림)파일입니다.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 트루 컬러(24bit)를 사용하는 이미지 파일입니다.
  • 웹상의 표준 이미지 파일 포맷인 GIF를 대체하여 웹에서 최상의 비트맵을 구현하기 위해 제정된 파일입니다.
  • GIF의 단색 투명층과 다르게 8bit 알파 채널을 이용하여 부드러운 투명층을 제공하지만 gif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을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50. 다음 중 네트워크 기본 장비에서 라우터(Rou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② 네트워크의 가장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출입구 역할을 한다.

거리가 증가될수록 감쇠하는 신호를 재생하거나 출력 전압을 높여 전송한다.

 

라우터가 시험문제로 출제되면 '경로 설정'이라는 내용을 찾으시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라우터(Router)>

인터넷 접속시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전송합니다.

효율적인 속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흐름을 제어하며 수신된 정보에 의하여 자신의 네트워크나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점을 결정합니다.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1번.

<허브(Hub)>

  •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한꺼번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합니다.
  • 단순 연결만하는 더미 허브와 흐름도 제어 가능한 스위치 허브가 있습니다.
  • OSI 7계층의 물리 계층에 해당됩니다.

3번.

<게이트 웨이(Gate Way)>

  • 통신 네트워크의 출입문으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과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등을 수행합니다.
  • 네트워크 사이에 IP패킷을 라우팅하거나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4번.

<리피터(Repeater)>

  • 물리 계층의 장비로 전송되는 신호를 재생해 줍니다.
  • 디지털 방식의 통신 선로에서 신호를 전송시에 전송거리가 먼 경우 발생하는 감쇠 성질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송신호를 재생하여 전달하는 재생 중계장치입니다.
  • 장거리 전송을 위하여 출력 전압을 높여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근거리 통신망이 확장 되었을 시 LAN을 서로 접속시킬 수 있거나 LAN과 LAN 사이에 설치하여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51. 다음 중 컴퓨터에서 부동 소수점과 비교하여 고정소수점 데이터 표현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연산 속도가 빠르다.

부호와 절대치 방식, 부호와 1의 보수방식, 부호와 2의 보수방식이 있다.

③ 큰 수나 작은 수를 표현할 수 있다.

정수 표현 형식으로 구조가 단순하다.

 

고정 소수점의 경우 정수를 나타내는 표현방법입니다. 실수를 표현하는 부동 소수점이 고정 소수점보다 큰수나 작은수를 표현할때 적합합니다.

 

<고정 소수점 & 부동 소수점>

  • 고정 소수점 : 연산시 소수점의 위치가 정해져 있는 방식으로 소수점을 가상적으로 연산 데이터의 가장 오른쪽 끝에 두고 수치를 모두 정수 취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부동 소수점 :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소수점의 위치가 움직인다하여 부동(浮 : 뜰 부 , 動 : 움직일 동)소수점이라 합니다.

52. OSI 7계층 중 다음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 ·수신측 간에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를 설정하고 제어한다.
· 대화의 구성 및 동기를 제공한다.
· 데이터 교환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응용계층

표현계층

③ 세션계층

전송계층

 

'송.수신측 간에 관련성 유지'가 핵심 문장입니다. 잘기억하시고 '세션'을 찾으시면 됩니다.

 

<OSI 7계층>

계층 특징 장비 프로토콜


물리 계층(Physical )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합니다.
리피터, 허브

RS-232, USB, 블루투스, V.35, 등등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를 교환 및 전송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송수신 트래픽 제어를 통해 속도차이 해결을 합니다.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화를 합니다.
프레임의 순서적 전송을 위한 순서 제어 기능을 합니다.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오류 제어 기능이 있습니다.
랜카드, 브리지, 스위치 HDLC, LAPB,LLC
ARP, SLIP, PPP, 등


네트워크 계층(Network)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리(네트워크 연결 설정, 유지, 해제), 데이터 교환 및 중계, 경로 설정,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을 합니다.
라우터

IP, ICMP, IGMP, 등등


전송 계층(Transport)


종단 시스템(End-to-End)간의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정송을 가능하게 하며 연결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해제 기능이 있습니다.
게이트 웨이

TCP, UDP, 등


세션 계층(Session)


송.수신측 간의 관련성 유지와 대화제어를 담당합니다.
대화 구성및 동기제어, 데이터 교환 관리 기능이 있습니다.
 

넷 바이오스, SAP 등


표현 계층(Presentation)


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포맷 변환 기능이 있습니다.
 

MIME, SSL, 등


응용 계층(Application)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교환, 전자 사서함, 파일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HTTP, DNS, FTP, 고퍼, DHCP, SNMP, 등등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모든 네트워크 통신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기본 모델입니다.


53.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 컴퓨터를 인간에게 좀 더 쉽고 쓸모 있게 함으로써 인간과 컴퓨터 간 상호작용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인간이 컴퓨터에 쉽고 편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작동시스템을 디자인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다루는 학문이다.
)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 세계의 모습이나 실제 영상에 문자나 그래픽과 같은 가상의 3차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겹쳐 보여주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기술

) CISC, ) CAI

② 가) HCI, 나) AR

) CALS, ) VCS

) HFC, ) VR

 

생소한 HCI를 암기하시기보다는 나).에 해당하는 AR을 암기하시는 것이 좋아요

'가상의 3차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겹쳐 보여주는'이 핵심입니다. 가상 + 현실 = AR(증강 현실)입니다.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에 관한 이론은 문제 지문에 너무나도 잘 설명해 놓았기에 추가 설명없이 넘어 갈께요

 

※ 추가 설명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80286, 80386, 80486, Pentium CPU 등의 일반 PC 프로세서로 명령어가 많으며 여러 주소 지정 모드를 지원합니다.
  • 프로그래밍이 용이하나 처리 속도가 느며  전력 소모가 많고 생산 가격이 비싸며 설계와 구현시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 RISC에 비하여 레지스터 수가 적지만 프로그래밍이 간단합니다.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 컴퓨터를 이용하여 많은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지식, 정보, 기술 등을 동시에 교육하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자동 교육 시스템입니다.

<CALS(Commerce At the Light Speed)>

  • 전자 상거래를 구축하기 위해 제품의 설계단계에서 개발, 구매, 제조, 유지,보수와 이후 유통, 폐기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에 관련덴 데이터를 표준에 맞춰 디지털하여 통합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경영 통합 정보 시스템을 말합니다.

<화상 회의 시스템(VCS : Video Conference System)>

  •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과 설치되어 있는 TV화면을 통해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전송 받아 한 사무실에서 회의를 하는 것처럼 효과를 내는 장치입니다.

<가상 현실(VR : Virtual Reality)>

  •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특정한 장소나 상황을 3차원(3D) 그래픽으로 구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HFC(Hybrid Fiber Coax)>

  • 동축 케이블과 광섬유 케이블을 함께 사용하는 선로망입니다.
  • 광섬유 케이블이 사용자 근방까지 연결되고 연결된 지점부터 사용자까지는 동축 케이블을 연결하여 이용하는 방식이됩니다.
  • 네트워크를 전부 광섬유로 구성하는 네트워크보다 비용이 절감되면서 광섬유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54.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의 감염 증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이유 없이 늦어진다.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줄어드는 등 시스템 성능이 저하된다.

③ 일정 시간 후에 화면 보호기가 작동된다.

예측이 불가능하게 컴퓨터가 재부팅된다.

 

화면 보호기는 모니터 화면의 Burn-in(번인 : 열화)현상을 예방하고자 동화상이 재생되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바이러스와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화면 보호기(Screen Saver)>

  • CRT(음극선관 : 브라운관)모니터는 한 가지 화면을 장시간 표시하면 내부의 인광물질이 타버리는 현상(번인 :Burn-in) 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동화상이 재생되는 것입니다.
  • PDP 또는 OLED 디스플레이도 열화되어 얼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Virus)>

  • 컴퓨터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기 위해 운영체제나 저장된 데이터에 손상을 입히는 프로그램입니다.
  • 디스크의 부트 영역이나 프로그램 영역에 숨어있으며 자신을 복제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 시킬 수 있습니다.
  • 주로 인터넷과 같은 통신 매체를 통해 다운로드한 파일이나 외부에서 복사해 온 파일 등을 통해 감염되고 감염시 프로그램(S/W)나 장치(H/W)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를 해결해주는 프로그램을 백신이라 합니다.

55. 다음 중 컴퓨터에서 정보보안을 위하여 사용하는 방화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거나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패킷을 체크한다.

역추적 기능이 있어서 외부 침입자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방화벽을 사용하더라도 내부의 불법적인 해킹은 막지 못한다.

해킹에 의한 외부로의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보안 시스템이다.

 

방화벽은 내부로 들어오는 패킷을 체크하여 통과시키지만 외부로 나가는 패킷은 체크하지 않습니다.

 

<방화벽(Fire wall)>

  • 네트워크에 대하여 외부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장치입니다.
  • 내부로 들어오는 패킷은 인증된 안전한 패킷만 통과시키며 역추적 기능으로 외부 침입자의 흔적을 역추적 할 수 있습니다.
  •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불법적인 해킹은 막지 못합니다.

56. 다음 중 ICT 관련 최신 기술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트랙백(Trackback) : 내 블로그에 해당 의견에 대한 댓글을 작성하면 그 글의 일부분이 다른 사람의 글에 댓글로 보이게 하는 기술이다.

와이브로(Wibro) : 이동하면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기술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전자 태그가 부착된 IC칩과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개체들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이다.

④ NFC(Near Field Communication) : 한 번의 로그인으로 기업 내의 각종 업무 시스템이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NFC는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입니다. 4번 보기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SSO입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 10cm 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입니다.
  •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비접촉식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며 교통카드, 신용카드, 스마트 폰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통신거리가 짧아 보안이 좋으며 블루투스와는 다르게 매번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SSO(Single Sign On)>

  • 한 번의 로그인으로 여러 개의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며 기업 내의 각종 업무 시스템이나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보안 응용 솔루션입니다.
  • 시스템이 몇 대가 되어도 하나의 시스템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매번 다른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도 모두 얻습니다.

 

※ 추가 설명

 

<트랙백(Trackback)>

  • 댓글 기능의 확장판으로 다른 사람의 블로그에 직접 댓글을 올리는 것이 아닌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일정 부분이 다른 사람의 댓글로 보이도록 트랙백 핑을 보내는 것입니다.

<와이브로(Wibro :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무선 휴대 인터넷으로 이동하면서도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입니다.
  • 무선 광대역 인터넷으로 휴대폰, 스마튼 폰의 통신망처럼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반도체 칩이 내장된 태그, 라벨, 카드 등의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인식 시스템입니다.
  • IC칩과 무선을 통하여 동.식물, 사물 등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인식 기술입니다.
  • RFID시스템은 태그, 안테나, 리더기 등으로 구성되어 정보를 무선으로 수미터에서 수십미터까지 보내어 이 신호를 리더기가 받아 정보를 해독하여 컴퓨터에서 보내져 처리됩니다.
  • 무선 주파수를 이용해 빛을 전파하여 장거리로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합니다.

57. 다음 중 아웃룩(Outlook)에서 메일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신된 메일은 기본적으로 [받은 편지함] 폴더에 저장된다.

② [지운 편지함]에 있는 메일을 삭제하면 [임시 보관함]으로 이동한다.

[검색 폴더]는 특정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모든 전자 메일 항목을 보여 주는 가상 폴더이다.

[받은 편지함]에 있는 메일을 삭제하면 [지운 편지함]으로 이동한다.

 

지운 편지함의 경우 윈도우의 휴지통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지운 편지함에서 삭제하는 경우 영구 삭제가 됩니다.

 

<아웃룩 메일>

  • 메일들을 보낸 사람, 제목, 받은 날짜 등으로 구별되어 표시가 됩니다.
  • 보낸 편지함, 받은 편지함, 지운 편지함, 정크 메일 등으로 관리가 됩니다.
  • 메일을 삭제히 지운 편지함에 보관되며 지운 편지함에서 삭제시 영구 제거 됩니다.
  • 정크 메일의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필터된 메일로 삭제시 지운 편지함으로 저장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58. 다음 중 아웃룩(Outlook)에서 작업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미리 알림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작업 되풀이가 끝나는 날짜를 지정할 수 있다.

③ 완료된 작업은 하루가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되게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사람에게 작업을 요청할 수 있고 상대방은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아웃룩에서 작업이 완료가되면 제목, 기한 등의 가운데 줄이 그어져 표시가 됩니다.

 

<아웃룩 작업>

  •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작업, 소요시간이 긴 작업 등을 관리할 때 사용합니다.
  • 한번 또는 반복 실행되도록 설정이 가능합니다.
  • 작업 시작, 기한, 상태, 우선 순위, 완료율, 알림 등을 설정 가능합니다.
  • 다른 사람들과 작업 요청이나 수락이 가능하며 거절도 가능합니다.
  • 작업 완료시 작업 제목 기한 등의 가운데 줄이 그어져 표시가 됩니다.

59. 다음 중 보기에서 설명하는 모바일 기기 관련 용어로 옳은 것은?

여러 개의 앱을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도록 앱 실행 시 영상 화면을 오버레이의 팝업창 형태로 분리하여 실행하는 기능이다.

 

스마트 앱(Smart App)

② 플로팅 앱(Floating App)

앱 스토어(App Store)

앱북(App Book)

 

<플로팅 앱(Floating App)>

  • 스마트 기기에서 여러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영상화면을 팝업창으로 분리 실행하는 기능입니다.
  • 영상 화면 팝업 창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멀티캐스팅을 지원합니다.

<스마트 앱(Smart App)>

  •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기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기능과 환경을 제공합니다.

<앱 스토어(App Store)>

  • 구글의 안드로이드(Android), 애플의 iOS MS사의 Microsoft Store와 같이 각 플랫폼의 서비스 인프라에 맞추어 개발자들이 앱(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개하여 사람들이 무료나 구매를 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상점(Store)입니다.

<앱 북(App Book)>

  •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단말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으로 된 전자책 입니다
  • 소프트웨어의 특성이 강화된 것으로 단순 서적보다는 앱에 가까우며 음성, 영상, 사운드 등 멀티미디어 기능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

60. 다음 중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등의 디지털 콘텐츠에 사람의 육안으로는 구별할 수 없도록 저작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불법 복제를 막는 기술로 옳은 것은?

카피라잇(Copyright)

카피레프트(Copyleft)

③ 워터마킹(Watermarking)

스패밍(Spamming)

 

<워터 마크(Watermark)>

  • 원본 데이터(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에 소유주만 아는 마크(Mark)를 사람의 육안이나 귀로 구별할 수 없게 삽입하여 소유권이나 저작권을 밝힐 수 있는 기술입니다.
  • 워터마크가 삽입될 경우 흐린 배경 무늬 로고와 같은 마크가 디지털 원본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거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으며 복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을 워터마킹이라 합니다.

 

<카피라이트(Copyright)>

  • 저작자가 그 자신이 창작한 저작물에 대해서 갖는 권리로 판권, 저작권이라는 뜻입니다.

<카피레프트(Copyleft)>

  • 지적재산권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지적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한것입니다.
  • 자유 소프트웨어라고도 하며 저작권의 소유자가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창작물을 쓸수 있도록 허용한 것입니다.

<스팸(SPAM)>

  • 메시지나 메일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사와 관계없이 통신을 통하여 일방적으로 대량 전달되는 광고를 말합니다.
  • 불특정 다수에게 무분별하게 전송되는 정크 메일과 같은 의미입니다.
  • 이러한 행동을 통하여 거짓 정보, 바이러스 유포 등과 같은 악용 되고 있습니다.
  • ※ 이러한 스팸메일을 유포하는 행위를 스패밍이라 합니다.

 

728x90
반응형